[까만책 (수능기출) > 국어영역] 2026 마더텅 수능기출문제집 국어 언어와 매체
15페이지 3-7번 문제에 있는 '값지다'의 음운 변동 유형에 대한 질문입니다.
8쪽에 된소리 되기 개념설명 1번에 나온 예시에 닭장은 자음군 단순화가 먼저 일어나서 닭장에서 (닥장)이 되고 그 후 된소리 되기가 일어나 [닥짱]이 된다고 나와있습니다.
저는 값지다 또한 같은 방식으로 값지다에서 (갑지다)로 자음군 단순화가 일어나고 그 후 된소리 되기가 일어나 [갑찌다]가 되야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다만 답지에서는 교체 후 탈락으로 설명 되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어떤게 먼저 일어나는게 맞나요?
안녕하세요, 김반석 님.
<2026 마더텅 수능기출문제집 국어 언어와 매체> 교재에 대해 문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기존에는 자음군 단순화가 일어난 후 된소리되기가 일어난 것으로 많이 보았는데, 최근에는 된소리되기가 일어난 후 자음군 단순화가 일어난다고 보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학문적으로 정해진 명확한 순서가 있는 것은 아닌지라, 교재에서도 혼란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죄송합니다.
최근의 기조에 따라 8쪽의 설명을 추후 수정하겠습니다.
쪽수 |
위치 |
수정 전 |
수정 후 |
문제편 8p |
3. 된소리되기 ① |
닭장 ① 자음군 단순화(ㄺ→ㄱ) ② 된소리되기(ㅈ→ㅉ) |
닭장
① 된소리되기(ㅈ→ㅉ) ② 자음군 단순화(ㄺ→ㄱ)
|
최초 신고자이시므로 감사의 의미로 소정의 기프티콘을 보내드리겠습니다.
일주일 이내에 전화번호로 기프티콘이 발송될 예정입니다.
저희 교재에 보내 주신 관심에 깊은 감사를 드리며, 앞으로도 저희 마더텅 교재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