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교재 QnA

[까만책 (수능기출) > 탐구영역] 2025 마더텅 수능기출문제집 사회·문화

신재훈2024.03.12페이지 : 1쇄 수 : 61답변현황 : 답변완료

1단원의 사회•문화 현상의 연구 방법 단원 26번의 해설에서 1번 선지가 오답인 까닭으로 

"제시된 연구에서 모집단(전체 집단)은 전체 청소년이다. 일반적으로 청소년에는 중학생, 고등학생, 학교를 다니지 않는 청소년 등이 있다. 제시된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만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했기 때문에 모집단(청소년)의 특성을 대표한다고 보기 어렵다."

라고 해설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같은 단원 52번 문제의 해설에서 보기 ㄴ.이 옳은 까닭으로 

"'청소년'은 모집단(전체 집단)이고, '중• 고등학생 1000명'은 표본 집단이다."

라고 해설하고 있습니다.

위 두 문항의 해설이 모두 맞다고 하기엔 서로 충돌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26번의 해설을 52번 보기 ㄴ.에 적용한다면 청소년에는 학교를 다니지 않는 청소년도 포함되기 때문에 '중• 고등학생 1000명'은 모집단 '청소년'의 특성을 대표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할 여지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차라리 26번 문항의 해설이 '지역과 성별'을 고려하여 무작위로 추출한 고등학생 100명이여서 '지역과 성별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모집단 '청소년'의 특성을 대표하지 못 한다라고 하면 이해가 가겠습니다만 위의 두 해설만 보자면 두 해설이 충돌하는 부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두 문항의 해설이 충돌하는 것이 맞다면 어느 문항의 해설을 옳다고 봐야 하는지, 충돌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답변완료
2024.03.13마더텅

안녕하세요 신재훈님

<2025 마더텅 수능기출문제집 사회문화> 교재에 대해 문의주셔서 감사합니다.

표본 집단은 연구를 위해 모집단에서 선정된 집단입니다. 
대표성이 떨어진다는 것은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기 어렵다는 의미이지, 표본집단이 될 수 없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표본이 모집단의 대표성을 잘 반영할 경우 연구 결과가 일반화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시면 됩니다.
대표성과 표본의 개념이 다르기 때문에, 이 점을 유의하여 학습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답변 내용이 학습에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저희 마더텅 교재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마더텅 고객센터 만족도 조사 참여 안내]

안녕하세요. 마더텅 출판사입니다.

고객센터를 이용해 주신 고객분들을 대상으로 고객센터 만족도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조사 응답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고객님의 소중한 의견은 저희 마더텅 출판사 고객센터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자료로만 활용됩니다.

앞으로 더 좋은 교재와 교육서비스로 찾아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마더텅 출판사 올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