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만책 (수능기출) > 탐구영역 > 사회탐구영역(수능)] 2021 수능대비 마더텅 수능기출문제집 윤리와 사상
해설자 73쪽 45번 1번 선지 해설에 공자는 인을 실천하는 첫걸음으로 효제충신을 강조하였다고 써있는데 효제충서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마더텅입니다.
문의해주신 내용의 답변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음은 『논어』,「학이」편의 내용입니다. 공자의 인은 논어의 모든 부분에 실천적 행위 규칙으로 유추할 수 있습니다.
1-2. 其爲人也孝弟而好犯上者, 鮮矣. 不好犯上而好作亂者, 未之有也.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孝弟也者, 其爲仁之本與!
그 사람됨이 부모님께 효성스럽고 형에게 공손하면서 윗사람의 마음을 거스르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드물다. 윗사람의 마음을 거스르기를 좋아하지 않으면서 난동을 일으키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아직 없었다. 군자가 근본에 힘쓰는 것은 근본이 수립되어야 도가 생기기 때문이니 효제라는 것은 바로 인의 근본이리라!
1-6. 弟子, 入則孝, 出則弟, 謹而信, 汎愛衆而親仁, 行有餘力, 則以學文.
젊은 사람은 집에 들어가면 부모님께 효성스럽고 밖으로 나가면 윗사람에게 공경스러우며, 언행이 근엄하고 믿음성이 있으며, 널리 여러 사람을 사랑하고 인을 가까이하되, 이렇게 하고도 남는 힘이 있으면 그 힘으로 글을 배우는 법이다.
1-8. 君子不重則不威, 學則不固. 主忠信,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군자는 진중하지 않으면 위엄이 없고 학문을 해도 공고하지 않다. 충성과 신의를 주로 하고 자기만 못한 자를 벗하지 말며 과오가 생기면 서슴없이 고쳐라.
『논어』,「학이」편의 내용을 바탕으로 판단하였을 때, 공자도 충분히 효제충신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물론, 지적해주신 대로 현재 교육과정에서 효제와 충서라는 단어를 나누어 쓰는 것이 효제충신보다는 더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공자 이후 유교 문화권에 속해있던 후대 사람들은 효제충신이라는 단어를 한 단어처럼 일반적으로 사용하였습니다.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단어이기 때문에 효제충신을 묶어 쓰는 것은 문제가 없습니다.
저희의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